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E-NEWSLETTER No.175 October 2025

오피니언

◎ 임상에서 기초를 선택한 이유, 나는 왜 기초의학을 선택하였는가

최 형 진서울의대 해부학

생존에 필수적이던 식욕은 현대 사회에서 쾌락을 위한 욕망으로 변질되었다. 우리는 생존이 아닌 즐거움을 위해 음식을 찾지만, 이러한 현상 뒤에는 소비를 부추겨 이익을 얻으려는 자본의 전략이 숨어 있다. 이로 인해 음식 중독은 가장 널리 퍼진 중독 형태가 되었다. 대학 병원 내분비내과에서 수년간 진료했던 필자는 당뇨병, 심근경색 등을 앓으면서도 해로운 음식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는 환자들을 보며 음식 중독의 심각성을 깨달았다. 그는 대사 질환과 심혈관 질환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음식 중독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있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이러한 확신을 바탕으로 필자는 2015년부터 임상 진료를 중단하고, 음식 중독이 대사질환을 유발하는 뇌과학적 기전을 밝히는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신약 개발이나 진단/치료 방법 실용화의 전 단계인 중개연구에 집중하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하는 동물들은, 쥐-원숭이-사람으로 한정하기로 하였다. 대학원 시절에는 세포 실험도 많이 했었으나, 선택과 집중하기 위해, 살아 깨어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쥐로부터 원숭이에 이어, 뇌과학적 도구를 사용하는 소규모 임상시험까지 수행하기로 기획했다.

구체적으로는 동물 모델 연구와 임상시험 각각의 독특한 실험적 장점을 활용하는 중개연구를 수행한다. 동물 모델에서는 생물학적인 기전을 직접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수술적 모델, 약물 투입 모델, 질환 모델, 유전자 조작 모델 등을 활용한다. 임상시험을 통해서는, 설문지, 인지 과제, 표현형 평가들을 사용하여, 종합적인 신경 기능 분석을 수행한다. 인간 조직 연구를 통해서, 기초생물학적인 연구에서 새로 발견된 발병 원인 물질들의 위치와 발현양 등을 직접적으로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임상시험을 통해, 새로 개발한 치료법의 임상적 효용성을 검증한다.

20년간의 진료현장 경험에 대한 고찰과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동물의 생존 최적화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적 구조를 정립했다. 욕구 감소(Hull 1943),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한 동기 발생(Maslow 1954), 행동은 보상을 얻는 과정이며 욕망과 쾌락이 관련 있음(Shultz 2016), 욕망과 쾌락의 역할을 구분(Berridge 2023) 등 다양한 과거 이론이 있었다. 과거 이론들과 현대 뇌과학을 바탕으로, 행동 조절의 네 가지 핵심 심리 요소를 새롭게 정의했다. 첫째, 예상되는 결핍에 대한 경고인 필요(need), 둘째, 행동을 직접 유발하는 동기(motivation), 셋째, 즉각적 평가와 지침을 주는 쾌락(pleasure), 넷째, 종합적 결과를 평가하는 효용(utility)이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필요와 동기가 행동을 일으키면, 그 결과인 쾌락과 효용을 통해 행동을 평가하고 기억한다. 이 기억은 다음 행동에 대한 선호(preference)를 형성하여, 생존과 번식에 최적화된 방향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게 한다.

최근 우리 연구팀은 Science, Neuron 등 유수 저널에 항상성 유지를 위한 심리 요소들—필요(배고픔), 동기(식욕), 쾌락—을 담당하는 뇌신경 기전을 규명하는 논문들을 발표했다. 이 연구들은 우리가 정립한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행동 조절의 뇌과학적 원리를 탐구하는 동시에, 위고비 같은 신약 타겟을 발굴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기업들과 공동 개발하는 실용적 목표를 추구한다.

현대의 먹는 즐거움은 종종 자본주의 산업이 조장한 조작된 쾌락으로, 음식 중독과 건강 문제로 이어진다. 과거 담배의 중독성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어 사회적 규제를 이끌어냈듯, 음식 중독의 뇌과학적 기전을 명확히 밝혀 사회를 설득한다면 우리 사회는 더 건강해질 수 있다. 인위적인 쾌락에서 벗어날 때, 우리는 비로소 더 건강하고 진정한 행복의 원천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본 연구실 주요 연구
1. GLP-1 Increases Pre-ingestive Satiation via Hypothalamic Circuits in Mice and Humans. Science. 2024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j2537
2. Hypothalamic neuronal activation in non-human primates drives naturalistic goal-directed eating behavior. Neuron. 2024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896627324002368
3. A Normative Framework Dissociates Need and Motivation in Hypothalamic Neurons. Science Advances. 2024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o1820
4. Lateral Hypothalamic Leptin Receptor Neurons Drive Hunger-gated Food-seeking and Consummatory Behaviours . Nature Communications. 2023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3-37044-4
5. A Unified Theoretical Framework Underlying the Regulation of Motivated Behavior. Bioessays. 2024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bies.202400016

배경 문헌
6. Volkow, N.D. (2017). The dopamine motive system: implications for drug and food addiction. Nat Rev Neurosci
7. Berridge, K. C. (2023). Separating desire from prediction of outcome value. Trends Cogn Sci.
8. Shultz, W. (2016). Dopamine reward prediction-error signalling: a two-component
9.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s. Response
10. Hull, C. L. (1943). Principles of behavior: an introduction to behavior theory. Appleton-Century.

대한의학회(https://www.kams.or.kr)
(06653)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14길 42, 6층/7층 (서초동, 하이앤드타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