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E-NEWSLETTER No.132 November 2021

POM

◎ 2021년 제19회 화이자의학상 수상 소감

⦾ 기초의학상 성학준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어려운 코로나시기에 더욱더 의미 있게 다가오는 화이자 의학상을 받게 되어 영광이고 도와주신 모든 분들과 저희 실험실 멤버들께 특히 고개 숙여 감사드립니다.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임태환 회장님, 심사위원장이신 이은직 교수님, 운영위 간사이신 강훈철 교수님, 또한 심사에 참여해 주신 국내 석학 교수님들, 저의 의과대에 헌신하시는 유대현 학장님, 그리고 후원 주최이신 한국화이자제약 오동욱 대표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본 수상을 하게 된 연구는 “Development of a Shape-Memory Tube to Prevent Vascular Stenosis.” 라는 제목으로 Advanced Materials 논문에 발표 되었습니다. 형상의 회복이 가능한 새로운 소재인 형상기억고분자의 다세대 (multi-generation)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혈관 이식 및 결합 부위에서 혈관 구조의 회복이 가능하며 혈류의 흐름을 안정화 시켜 혈관 협착 방지가 가능한 소구경 혈관 이식 및 결합(문합) 적용 디바이스를 개발 하였습니다. 다 학제간 융합 연구를 근본으로 하는 의공학자로서 의학상은 의미가 크게 다가옵니다. 미국에서 10년 넘게 연구해온 주제로 여러 의미 있는 수상을 했는데 귀국 후 이 연구에 대한 가치를 국내 석학 연구자분들께 인정받은 듯하여 용기를 주는 상이기도 합니다. 원천 의료소재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은 국내 현실을 볼 때 앞으로 국산화 가능한 소재로 성장 할 수 있다는 생각도 들게 되었고 다양한 삽입형 의료 디바이스로의 개발연구도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끝으로, 연구자로서 열심히 생활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버팀목이 된 가족 모두께 감사합니다.

⦾ 임상의학상 박중원 교수 (국립암센터 간담도췌장암센터)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대한민국 의학발전 및 인류건강복지에 기여한 의학자에게 수여하는 화이자의학상을 수상하게 되어 너무나 기쁩니다. 본 상을 심사해주신 여러 선생님들과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 상을 받을 수 있게 해준 임상연구에 저를 믿고 기꺼이 참여해주신 환자분들과 가족분들, 헌신적으로 연구를 수행해주신 공동연구자들께 다시금 감사드립니다. 제게 간장학 연구의 길을 가르쳐 주신, 이제는 고인이 되신 은사 김정룡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환자 본다고 또 연구한답시고 모자라게 군 남편과 아버지를 이해하려 노력해준 아내과 두 아들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간세포암종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중 3cm 이하 크기의 조기암은 완치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절제술 치료 또는 고주파열치료(Radiofrequecy Ablation; RFA)가 권장됩니다. 고주파열치료는 HCC를 고주파로 태워서 치료하는 국소치료법입니다. 국립암센터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시작한 양성자치료(Proton Beam Radiotherapy; PBT)는 전립선암, 안구암 등에서는 3상 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표준치료로 인정되어 사용되고 있었고 HCC의 경우 일본, 유럽, 미국 등 전세계적으로 HCC 환자들에게 적용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절제술이나 RFA와 같은 완치적 표준치료와 효과-부작용 등을 비교하는 무작위 대조군 3상 임상연구가 없어서 근거중심의학 기반의 표준치료로서 인정받지 못한 치료법이었기 때문에 3상 대조군 연구를 통해 HCC에서 양성자치료 효과를 입증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3cm 이하, 2개 이하로 재발된 HCC 환자 144명을 간기능 등급과 병기에 따라 각각 PBT군 72명과 RFA군 72명으로 무작위 배정했고 이후 배정된 치료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경우 상호교차 치료를 허용하여 실제 치료는 80명이 PBT를, 56명이 RFA를 받았습니다. 그 결과, 2년 국소무진행생존율(local progression fress survival; LPFS)은 PBT군 94.8%, RFA군은 83.9%, 3년 및 4년 LPFS도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PBT군에서는 중증도 이하 방사선 폐렴(32.5%), 백혈구수감소(23.8%)가, RFA군에서는 알라닌아미노트랜스퍼라제 수치 증가(96.4%) 복통(30.4%)로서, 두 치료군 모두 심각한 부작용이나 사망 없이 안전한 치료임을 확인했습니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한으로 인해 남들이 하지 못했던 전향적 대조군 3상 연구를 재발 환자 대상으로 비열등성 방법, 교차치료법 적용 등으로써 제한점을 극복한 연구로서 PBT가 작은 HCC를 완치시킬 수 있음을 최종적으로 입증하였습니다. PBT는 RFA의 약점 (종양 위치에 따른 접근성, 주변 혈관 인접에 따른 효과 등)을 상호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3cm 이하 크기의 간세포암종 환자들에게 큰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연구는 간분야 최고학술지인 Journal of Hepatology 3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었습니다.

⦾ 중개의학상 최동호 교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우리나라 최고의 권위의 화이자 의학상을 미진한 저에게 수여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먼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임태환 회장님, 심사위원장이신 이은직 교수님, 운영위원장이신 유승흠 교수님, 또한 심사에 참여해 주신 우리나라 최고의 교수님들, 또한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을 해주신 저희 의료원의 최호순 의료원장님, 윤호주 병원장님과 의과대학 고현철 학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제17회 화이자 의학상을 먼저 수상하시면서 제가 진행해 나아가야 길을 보여주신 이상훈 교수님과 제가 의과대학 학생 때 연구를 시작할 수 있게 해주시고 간담췌 외과의사로 만들어 주신 이광수 교수님, 저를 연구자로서 키워주신 경희대학교 오범석 교수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영광스러운 상의 제정해서 후원해 주신 한국화이자제약 오동욱 대표이사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저는 간재생의학을 20년간 연구해오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에 연구의 일환으로 ‘저분자 화합물 유래 간 전구/줄기세포 제작 연구’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Kim et al. Journal of Hepatology). 이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한양대학교 배상수 교수 연구팀과 함께 저분자 화합물을 통해 유전성 난치질환 모델 마우스 유래 간 전구/줄기세포를 제작하고, 차세대 유전자교정 기술인 염기교정 (base editing)과 프라임교정 (prime editing)을 통해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한 후, 다시 생체 내로 이식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전략 (ex vivo gene therapy)을 이용하여 한 번의 치료만으로도 유전성 난치질환인 티로신혈증 (Hereditary tyrosinemia type I) 동물 모델에서 생존율이 크게 개선되는 등 유전성 간 난치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방법을 제시한 것이 중요한 성과라고 하겠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유전성 난치질환 환자의 세포를 추출하여, 체외에서 염기교정 및 프라임교정 기술을 이용하여 교정한 후 다시 환자에게 이식하여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는 유전자 세포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off-target effect와 교정 효율 (editing efficiency) 등을 체외에서 확인 및 선별하여 환자에게 이식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생체 내 직접 주입 유전자치료 (in vivo gene therapy)의 문제점을 크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 됩니다

외과의사로서 그것도 간이식을 하고 간담췌외과를 하는 저에게 연구를 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은 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처음 의과대학에 오면서 생각한 마음들 그리고 의사가 되면서 다짐 했던 것들 을 초심으로 유지하면서 외과의사와 간담췌외과 의사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저에게 남겨진 숙제들을 풀기위해서 앞으로도 묵묵히 연구를 진행해 나가겠습니다. 남은 저의 연구인생 동안 더욱 열심히 연구하여 간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외과의사가 되기 위해서 노력하겠습니다. 비록 제가 한 연구가 미흡하여 당장 성과를 내지는 못하겠지만 이 연구가 도화선이 되어서 제 후배나 제자들이 꼭 치료법을 완성해 나가리라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그리고 정신없이 살고 있는 가장을 잘 이해해주는 제 아내(이숙진) 그리고 두 딸(최민경, 최수경)에게도 미안하고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대한의학회(https://www.kams.or.kr)
(06762)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7길 18